IoC

· Spring
의존성 주입이란? DI는 IoC를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패턴으로 빈 사이의 의존 관계를 DI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연결한다. IoC는 객체에 대한 제어권이 개발자에게 있는 것이 아닌, 스프링 컨테이너에게 있는 것. 객체의 생성부터 소멸까지의 라이프싸이클 관리를 컨테이너가 대신 해준다. IoC 컨테이너에 객체들을 생성하면 객체끼리 의존성을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하는 역할을 하고 컨테이너에 등록한 객체들을 '빈'이라고 한다. 런타임 시에 관계를 동적으로 주입하여 유연성을 확보하고 결합도를 낮출 수 있게 해준다. 의존성 주입 방법 의존성 주입은 생성자 주입, 필드 주입, 세터 주입의 3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이 중 Spring에서 가장 권장하는 의존성 주입 방법은 생성자를 통한 주..
코딩스토리
'IoC' 태그의 글 목록